CONTENTS
- 1. 무면허운전 | 개념
- 2. 무면허운전 | 처벌 수위
- - 무면허운전 | 주요 업무분야
- 3. 무면허운전 사건 조력
1. 무면허운전 | 개념

무면허운전은 교통수단에 대한 면허가 없는 사람이 그 교통수단을 운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무면허운전은 단순히 면허를 취득하지 않은 채 운전을 하는 행위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면허를 취득한 사람이 그 면허에 대해 정지 및 취소 처분을 받은 상태에서 운전을 하는 경우도 포함합니다.
무면허운전 자체로도 처벌 대상이지만 무면허운전으로 교통사고를 발생시킨 경우 더욱 엄중한 처벌이 내려지기에 유의해야 합니다.
무면허운전죄는 도로에서 운전을 해야 성립되므로 도로교통법에 따라 도로가 아닌 곳에서 무면허운전을 한 경우에는 처벌 받지 않습니다.
운전면허 정지 상태에서 무면허운전을 한 경우 면허 취소 사유에 해당되며 면허없이 운전을 한 경우 1년 간 면허 시험에 응시할 수 없습니다.
형사 처벌 및 행정 처분이 따르는 범죄이기에 무면허운전을 하지 않는 것이 좋겠지만 혐의를 받고 있다면 반드시 전문변호사의 조력을 구해야 합니다.
2. 무면허운전 | 처벌 수위
무면허운전을 한 경우 아래 수위의 처벌이 내려집니다.
무면허운전을 한 경우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 원 이하의 벌금 |
무면허운전을 해 교통사고를 일으킨 경우 |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무면허운전을 해 교통사고를 일으키고 피해자가 상해를 입은 경우 |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상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무면허운전을 해 교통사고를 일으키고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 무기징역 또는 3년 이상의 징역 |
무면허운전 | 주요 업무분야
무면허운전 관련 주요 업무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처벌 수위 법률자문
형사 절차 초기 대응 수립
무면허운전 해당 사례 검토 및 자문
혐의 방어 변론
전동킥보드 등 자동차 외 수단 운전 사례 검토 및 분석
미성년자 사례 검토 및 대응방안 수립
교통사고 발생 시 사후 조치 대응 방안 수립
국제운전면허 관련 범위 안내 및 법률자문
면허 결격 기간 관련 자문
보험 처리 관련 자문
방조 행위 처벌 관련 자문
행정처분 관련 법률자문
면허취소 이후 무면허운전시 가중처벌 여부 등 관련 자문
민형사상 소송 대응
기타 무면허운전 관련 법률자문 및 법령 해석 자문
3. 무면허운전 사건 조력
무면허운전 혐의는 운전면허를 취득하지 않고 운전할 경우, 운전면허가 정지 또는 취소된 상태에서 운전할 경우, 면허 종별에 맞지 않는 차량을 운전한 경우 성립됩니다.
무면허운전은 음주운전만큼 사고 발생률이 높기에 엄중한 처벌이 내려지게 됩니다.
대륜은 무면허운전 관련 사례에서 가벼운 처분을 받아낸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무면허운전과 관련하여 유사 판례 및 법원의 동향을 주기적으로 분석해 그 데이터를 축적해오고 있습니다.
무면허운전 혐의로 처벌 위기에 놓인 상황이라면 본 법인에 상담을 요청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