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건설산업기본법 | 위반 시 리스크
- 2. 건설산업기본법 | 벌칙 정리
- - 건설산업기본법 | 주요 업무분야
- 3. 건설산업기본법 | 대륜의 강점
1. 건설산업기본법 | 위반 시 리스크
건설산업기본법은 건설공사의 조사, 설계, 감리, 사업관리, 유지관리, 기술관리 등에 관한 기본 사항과 건설업 등록 및 건설공사 등록·도급에 필요한 사항을 정한 법입니다.
건설산업기본법에는 건설사업자 또는 건설기술인의 건설 시공 하자, 업무상 과실, 공사 입찰 중 부당한 이익 취득, 건설업 부정 등록, 도급 계약 위반 등 사항에 징역형, 벌금형, 과태료, 양벌규정 등 벌칙 등이 규정되어있습니다.
건설업은 산업 특성상 다양한 이해관계인이 존재하고, 다액의 자본금이 투입되기에 사소한 분쟁이라도 신속하게 처리하고, 적시에 받은 관련 자문을 통해 사안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건설산업기본법을 위반 시 건설업 등록이 취소되거나 영업 정지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으므로, 건설·부동산기업은 행정적 제재 및 형사적 처벌, 금전적 손실, 평판 손상과 입찰 제한 등 부차적인 손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본 법인의 🔗부동산전문변호사는 기업 의뢰인이 건설산업기본법을 준수할 수 있도록 분쟁 해결 및 행정 제재 대응, 사전 예방적 조치에 전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2. 건설산업기본법 | 벌칙 정리

건설산업기본법은 불법 하도급, 부당 하도급 대금 미지급, 건설업 등록 기준 미달, 공사 담합, 건설현장 안전 규정 위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반 사항이 발생하게 됩니다.
건설산업기본법의 주요 위반 행위의 벌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행위 태양에 따라 적용 법과 벌칙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부동산전문변호사의 법률상담을 필수적으로 받아보셔야 합니다.
하자담보책임기간에 교량, 터널, 철도 등 시설물이 파손돼 공중 위험을 발생하게 한 경우 | -건설사업자 또는 건설기술인 10년 이하의 징역 -업무상 과실로 죄를 범한 경우 5년 이하의 징역이나 금고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
건설공사 입찰에서 부당 이득을 취하거나 담합 등을 한 경우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억 원 이하의 벌금 |
부정한 방법으로 건설업을 등록한 경우 |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의 벌금 |
부정한 방법으로 하도급을 한 경우 |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의 벌금 |
건설산업기본법에 위배된 표시·광고 제한을 위반한 경우 |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 |
위반행위를 한 법인 또는 개인의 경우 | 10억 원 이하의 벌금 |
건설산업기본법 | 주요 업무분야
건설산업기본법 관련 주요 업무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건설업 등록 요건 자문
등록 기준 미달·건설업 등록 취소 등 행정처분 대응
하도급 계약 관련 건설산업기본법 준수 여부 점검
건설산업기본법 이해관계인 간 합의 대행
부동산 PF 등 자본 투자 관련 검토·계약 자문
입찰 제한 등 처분 구제
준공 지연, 🔗하자보수소송 등 소비자·업체 분쟁 대리
손해배상 및 형사처벌 등 민·형사소송 방어 및 조정
대금 지급 관리 체계 개선 자문
하도급·담합 관련 공정거래위원회 조사 대응
건설안전 및 근로기준법, 중대재해처벌법 등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기타 건설산업기본법 관련 법제 컨설팅
3. 건설산업기본법 | 대륜의 강점
건설산업기본법 준수는 건설·부동산기업의 신뢰도 및 기업 지속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준수해야 할 법이며, 기업 운영 전반에 큰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전문적인 법률 조언이 필요합니다.
본 법인의 건설·부동산그룹은 건설전담부 판사 경력 변호사 및 대한변호사협회 등록 건설전문변호사 및 부동산전문변호사 등 전문가 TF를 구성하여 의뢰인 사건에 대응합니다.
대형 건설업체의 건설 관련 계약 자문, 대한민국을 상대로 한 공사대금청구소송 등 다수 공공기관 및 기업과의 소송과 중재를 경험한 변호사를 선임하셔야 건설산업기본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전문변호사 추천을 받아 전문적인 법률상담을 진행하신 뒤 사안에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받아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