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판결분석

증거능력 | 수사관이 개입된 조정, 증거로 인정 안 된다는 대법원의 판결

증거능력에 관한 형사소송법 해석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대법원은 해당 형사조정조서에 수사관이 개입됐다고 보아, 증거로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을 내렸습니다.

CONTENTS
  • 1. 증거능력, 형사조정조서의 증거능력이 문제 된 사건
    • - 증거능력을 인정한 원심
  • 2. 증거능력 인정 어렵다고 본 대법원의 판단
  • 3. 증거능력 인정 여부에 대한 대륜의 전략

1. 증거능력, 형사조정조서의 증거능력이 문제 된 사건

증거능력 인정 여부가 문제 된 사건입니다.

형사조정위원으로 위촉된 공소외들은 피고인만이 출석한 상태에서 피해자와는 전화통화를 하는 방식으로 이 사건 형사조정절차를 진행했습니다.

공소외들은 이 사건 형사조정절차에서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자 기일, 장소, 피의자 및 피해자 성명과 각 출석 여부, 피의자 및 피해자의 각 주장, 조정위원회의 권고안, 조정결과가 기재되어 있는 이 사건 형사조정조서를 작성해 검사에게 송부했습니다.

이 사건 형사조정조서 중 ‘피의자의 주장’란에는 ‘피해자에게 성추행 및 간음 미수 피해를 입혔음’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말미에는 형사조정절차에 참여한 조정장과 조정위원 및 출석한 피고인의 각 성명과 서명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또다른 공소외인 간사 검찰수사관도 이 사건 형사조정조서의 말미에 성명을 기재하고 서명을 했습니다.

피고인의 진술을 기재한 서류가 비록 수사기관이 아닌 자에 의하여 작성되었더라도, 수사가 시작된 이후 수사기관의 관여나 영향 아래 작성된 경우로서 실질적으로 고찰할 때 그 서류가 수사과정 외에서 작성된 것이라고 보기 어려운 경우, 형사소송법 제313조 제1항의 ‘전 2조의 규정 이외에 피고인이 아닌 자의 진술을 기재한 서류’에 해당하는지가 문제 된 사건이었습니다.

증거능력을 인정한 원심

해당 증거능력에 대해 원심은 피고인의 진술이 기재된 형사조정조서에 대하여 형사소송법 제313조에서 규정하는 진술기재서에 해당된다고 보아 증거능력을 인정하고 공소사실에 대한 유죄의 증거로 삼았습니다.

∙형사소송법제312조(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조서 등)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는 적법한 절차와 방식에 따라 작성된 것으로서 공판준비, 공판기일에 그 피의자였던 피고인 또는 변호인이 그 내용을 인정할 때에 한정하여 증거로 할 수 있다

∙형사소송법 제313조(진술서 등)

전2조(형사소송법 제311조, 제312조)의 규정 이외에 피고인 또는 피고인이 아닌 자가 작성한 진술서나 그 진술을 기재한 서류’로서 그 작성자 또는 진술자의 자필이거나 그 서명 또는 날인이 있는 것에 대하여 그 진정 성립이 증명되면 증거능력을 인정한다.

2. 증거능력 인정 어렵다고 본 대법원의 판단

증거능력을 인정해 유죄의 증거로 삼은 원심과 달리 대법원은 그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법원은 형사조정위원들의 소속 및 지위, 이 사건 형사조정조서를 작성한 경위와 목적, 형사조정위원들이 형사조정절차의 진행과 관련하여 수사기관으로부터 확보한 자료의 내용과 성격, 형사조정의 방식 및 내용과 그 진행 장소, 간사로 검찰수사관이 관여한 상황을 바라봐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사건 증거 능력은 형사조정위원들이 전화통화를 해 이들의 진술을 듣고 이 사건 형사조정조서를 작성하고, 간사로 검찰수사관이 관여한 상황 등을 종합해 보면 이 사건 형사조정조서 중 ‘피의자의 주장’란에 피고인의 진술을 기재한 부분은 수사가 시작된 이후 수사기관의 관여나 영향 아래 작성된 경우라는 것입니다.

대법원은 위와 같은 상황을 고찰할 때, 수사과정 외에서 작성된 것이라고 볼 수 없으므로 형사소송법에 따라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대법원은 조서 작성 과정에서 수사기관이 개입되었기 때문에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 없고, 수사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나 ‘피고인이 아닌 자의 진술을 기재한 조서’가 아니고, ‘피고인 또는 피고인이 아닌 자가 작성한 진술서’라 보기도 어려우므로 증거능력을 인정할 수도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단, 대법원은 위와 같은 법리를 설시하면서 당 형사조정조서는 법리 오해 잘못이 있으나, 나머지 적법 증거가 유죄로 인정하기에 충분하므로 원심의 잘못이 판결 결과에 영향이 없다고 보아 상고를 기각했습니다.

3. 증거능력 인정 여부에 대한 대륜의 전략

형사소송법은 공판중심주의와 구두변론주의 및 직접심리주의를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형사소송법이 수사기관에서 작성된 조서 등 서면증거에 대해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증거능력을 인정하는 것은 실체적 진실발견의 이념과 소송경제의 요청을 고려하여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것일 뿐이므로 증거능력 인정 요건에 관한 규정은 엄격하게 해석∙적용해 바라봐야 합니다.

법무법인 대륜 형사그룹은 전직 판사·검사·경찰 출신 🔗형사전문변호사가 풍부한 실무 경험을 토대로 법리 해석 및 적용 자문을 제공합니다. 또한 증거조사∙디지털포렌식∙경호그룹과의 연계를 통해 객관적인 방법으로 증거 수집 및 성립 증명을 돕고 있습니다.

관련 구성원

MORE

김국일변호사님

김국일

경영총괄대표변호사

서울고검 부장검사 의정부지검 고양지청장 경력

T. 070-5117-2950

김인원변호사님

김인원

대표변호사

이메일

서울중앙지검 부장검사 대전홍성지청 부장검사 경력

T. 070-7510-1044

고병준변호사님

고병준

경영총괄대표변호사

형사/부동산전문 변호사

T. 070-5221-2805

박성동변호사님

박성동

대표변호사

이메일

서울고검 부장검사 서울지방경찰청 경찰간부 경력

T. 070-7510-2012

김효준변호사님

김효준

수석변호사

이메일

형사/민사전문 변호사

T. 070-7510-1044

황세정변호사님

황세정

수석변호사

이메일

기업법무/지식재산권전문 변호사

T. 070-5117-2950

배경

대륜의 주요 강점

대륜 로펌만의
AI 빅데이터 판결 분석 변론
620명 이상
다양한 분야의 최고의 인재들
지난 4년간 기준
145,571건의 상담건수

변호사
법률상담예약

모든 상담은 전문변호사가 사건 검토를 마친 뒤
전문적으로 진행하기에 예약제로 실시됩니다.

가급적 빠른 상담 예약을 권유드리며,
예약 시간 준수를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상담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전화예약

365일 24시간 상담과
긴급대응 가능

카톡예약

카카오톡채널

법무법인 대륜 변호사

온라인예약

맞춤 법률서비스를
제공합니다.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