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 1. 사기죄 | 성립요건
- 2. 사기죄 | 처벌
- - 사기죄 | 특경법
- 3. 사기죄 | 주요 업무분야
- 4. 사기죄 | 조력의 필요성
- - 사기죄 | 대륜의 강점
1. 사기죄 | 성립요건

사기죄는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는 재산범죄입니다.
전세사기, 보험사기, 보이스피싱 범죄 등은 모두 사기죄에 포함됩니다.
사기죄의 대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채권이나 청구권, 게임아이템도 사기죄 대상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게임상에서 게임머니를 대상으로 상대를 속이고 그 이익을 취득하여도 해당 범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
사기죄에서 가장 중요하게 입증해야 할 점은 ‘기망행위’ 인데, 상대가 기망행위에 속아 착오에 빠진 상태여야 사기죄가 성립합니다.
따라서 사기죄 사건에 연루되거나 조사를 받게 되었다면, 사기죄 성립 여부에 대해서 형사전문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2. 사기죄 | 처벌
사기죄 처벌형은 형법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사람을 기망하여 재물의 교부를 받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였거나 이를 제3자로 하여금 취득하게 한 자 역시 동일하게 처벌됩니다.
또한 컴퓨터 등 정보처리장치에 부정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권한 없이 정보를 입력·변경하게 함으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취득하게 한 경우도 처벌받게 됩니다.
▶ 사기죄 처벌수위
제347조(사기) |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제347조의 2(컴퓨터등 사용사기) |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 원 이하의 벌금 |
사기죄 | 특경법
사기 행위로 취득한 이득이 일정 금액을 넘어간다면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가중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특경법 제3조(특정재산범죄의 가중처벌)
이득액이 50억 원 이상일 때 | 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
|
이득액이 5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일 때 | 3년 이상의 유기징역 |
3. 사기죄 | 주요 업무분야
4. 사기죄 | 조력의 필요성
사기죄는 고소 건수 1위 범죄로 불릴 만큼 우리나라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재산범죄입니다.
그만큼 사기죄 조사를 받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기죄 조사를 앞둔 경우 혼자서 대응하는 것보다 형사전문변호사의 도움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초기 대응을 놓쳤다면 유리한 사건 자료를 확보하는 시기도 놓칠 수 있고 불리한 형사 절차를 진행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피해자 합의 과정 또한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사기죄 사건 처리를 하는 것에 있어서 형사사건 처리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사기죄 | 대륜의 강점
법무법인 대륜은 365일 24시간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어떠한 긴급한 사안에도 신속한 대응 마련이 가능합니다.
또한 형사사건을 다수 수행하여 사건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는 형사전문변호사 TF를 구성하여 최적의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사기죄에 연루되어 형사적 책임 혹은 배상 책임 등에 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면 형사전문변호사에게 조력을 요청해 주시길 바랍니다.